-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및 사용 방법 (스마트폰 다운로드 방법 설명)재테크 2024. 6. 11. 14:58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스마트폰 다운로드 방법)과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5월 20일부터 병원에 진료를 받으러 갈 때 반드시 신분증을 가지고 가셔야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건강보험증으로 병원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불법적인 악용 사례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건강보험 가입자의 보험료로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 사람이 혜택을 보는 일이 없도록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에 의해 실시되는 것입니다.
병원에서 본인 확인을 위해 제시할 수 있는 증명서에는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여권, 외국인등록증, 영주증, 외국국적동포국내소거신고증 등이 있으며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등을 스마트폰에 저장한 모바일 신분증이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이란?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종이 건강보험증을 스마트폰에 저장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4년 5월 20일부터 병원 진료 시 반드시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 제출을 하여야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런 내용을 알지 못하거나 또는 신분증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 진료를 받지 못하고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스마트폰에 건강보험증이나 신분증을 저장하고 있었다면 불편하게 돌아가는 일은 없었을 텐데요.
따라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스마트폰에 저장해 둔다면 우리 생활이 편리해질 것입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1.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를 켜고 검색창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합니다.
2. '모바일 건강보험증 (국민건강보험공단)'을 찾아 설치합니다.
3. 설치가 되면 오른쪽에 있는 '열기' 버튼을 누릅니다.
4. '건강보험증 불법사용 금지'라고 뜨는 창은 '다시보지 않기'를 눌러 끕니다.
5. '개인입니까?'라고 묻는 빨간색 부분을 누릅니다.
6. '개인을 선택했습니다. 맞습니까?'에서 '확인'을 누릅니다.
7. '언어를 선택하세요'에서 한국어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확인'을 누릅니다.
8. '완벽한 개인정보 보호'에서 '다음'을 누릅니다.
9. '모바일 건강보험증'에서 '다음'을 누릅니다.
10. '건강보험 자격·본인확인 QR'에서 '확인'을 누릅니다.
11. '기능 접근 권한 안내'에서 '확인'을 누릅니다.
12.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정보 수집 약관에 동의해 주세요'에서 '약관 전체동의' 체크를 눌러 체크 부분이 빨간색이 되면 '확인'을 누릅니다.
13. 파란색 유선전화 표시가 뜨면 '허용'을 누릅니다.
14. 빨간색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나타나면 '본인확인 하기'를 누릅니다.
15. '본인확인 인증 안내'에서 '다음'을 누릅니다.
16. 'KMC 본인확인 서비스'에서 '휴대폰 본인확인' 을 누릅니다.
17. 본인이 이용 중인 이동통신사를 선택하고 본인확인을 진행합니다.
18. 비밀번호 4자리를 설정해 줍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여서 설치했다면 병원에 다른 증명서를 가지고 갈 필요가 없습니다.
1. 병원 접수처에서 신분증을 요구하면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여둔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엽니다.
2.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합니다.
3. 처음 보이는 빨간색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누르면 건강보험관리공단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아래 'QR제출'이라는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QR코드가 뜨고 이를 병원 접수처에 보여주면 됩니다.
보건복지부 바로가기 이상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스마트폰 다운로드 방법)과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관련 글 보러 가기
>> 모바일 신분증, 은행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운전면허증 발급 방법 2가지 (0) 2024.06.13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잘못된 정보 | 은행, 병원 사용 가능? (0) 2024.06.13 모바일 신분증 - 스마트폰 안으로 들어온 신분증 (0) 2024.06.12 병원 진료 시 본인 확인 가능한 신분증 종류 (0) 2024.06.12 모바일 건강보험증 미성년자 자녀의 경우 (0) 2024.06.11